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책 소개

화학 분야 최장기 베스트셀러! 노벨 화학상 수상자이자 “화학의 시인”이 들려주는 화학에 대한 우리의 인식을 바꿔줄 놀라운 이야기

차례

머리말 제1부 정체─핵심문제 1. 쌍둥이의 삶 2. 당신은 누구인가? 3. 물맴이 4. 환원주의와의 싸움 5. 물고기와 벌레와 분자 6. 구별하기 7. 이성질 현상 8. 똑같은 분자도 있을까? 9. 어둠 속에서의 악수 10. 분자 모방 제2부 화학의 표현방법 11. 화학논문 12. 화학논문의 역사 13. 표면 아래 14. 화학의 기호언어 15. 분자는 어떤 모습일까? 16. 표현과 현실 17. 발버둥 18. 이드의 표출 제3부 분자의 합성 19. 창조와 발견 20. 합성 찬가 21. 큐베인과 합성의 예술 22. 아가니페 분수 23. 자연적/비자연적 24. 점심식사 25. 자연적인 것을 좋아하는 이유 26. 야누스와 비선형성 제4부 뭔가가 잘못될 때 27. 탈리도마이드 28. 과학자의 사회적 책임 제5부 도대체 어떻게 일어날까? 29. 메커니즘 30. 살리에리 증후군 31. 정적(靜的)/동적(動的) 32. 평형과 섭동(攝動) 제6부 화학에서의 삶 33. 프리츠 하버 제7부 확실한 마술 34. 촉매! 35. 삼중 해결책 36. 카복시펩티다아제 효소 제8부 가치, 피해 그리고 민주화 37. 티리언 퍼플, 대청, 인디고 38. 화학과 산업 39. 아테네 40. 화학의 민주화적 성격 41. 환경에 대한 관심 42. 고대 민주주의에서의 과학과 기술 43. 반(反)플라톤주의:과학자(또는 기술자)가 세계를 지배하면 안 되는 이유 44. 환경문제에 대한 대답 45. 화학, 교육 그리고 민주주의 제9부 이원자 분자의 모험 46. 다양한 모습의 C2 제10부 생동하는 이원성 47. 창조는 어려운 일 48. 또다른 이원성 49. 악마의 속성 50. 긴박하고 생명으로 가득한 화학? 51. 케이론 감사의 글 역자 후기 용어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

저자

로얼드 호프만Roald Hoffmann
"1937년 폴란드(현재 우크라이나)에서 출생한 호프만 교수는 1965년 코넬 대학교 화학과에 교수로 부임했고, 1974년부터 “존 뉴먼 자연과학 교수”로 재직했다. 현재는 “프랭크 로즈 인문학 명예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호프만 교수는 분자의 대칭성을 기초로 복잡한 분자의 성질과 화학반응을 규명하여 일본의 후쿠이 겐이치 교수와 함께 1981년에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그는 분자의 전자구조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어서, 스스로 개발한 확장 휘켈 이론(EHT) 등의 양자화학적 계산방법과 정성적인 이론을 이용해서 유기 및 무기 분자는 물론 일차원에서 삼차원에 이르는 고분자 및 고체의 구조와 반응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호프만 교수는 『오비탈 대칭 보존』(1970), 『고체와 표면』(1988), 『고체와 표면』(1989), 『가상의 탄화수소』(2009) 등의 저서를 저술했다. 호프만 교수의 가장 독특한 업적은 화학 분야 이외에서의 활발한 저술활동이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관심을 가졌던 인문과학에 대한 정열을 버릴 수 없었던 그는 노벨상을 수상한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시인(詩人)으로 활약하기 시작했다. “화학의 시인”이라고도 할 수 있는 그는 『메타믹트 상태』(1987), 『틈새와 모서리』(1990), 『솔리톤』(2002) 등 다수의 시집을 발간했고, 화가 비비언 토렌스와 함께 한 시화집 『화학의 명상』(1993), 희곡 『산소』(공저, 2001), 『그래야만 했는데』(2006), 『당신의 것』(2009), 수상록 『로얼드 호프만의 화학 철학, 예술, 과학』(2012)과 『유한의 너머에』(2011)도 발간했다. 그밖에도 화학과 관련된 철학적, 미학적 논문과 칼럼을 여러 곳에 발표했다. 화학의 대중화에도 많은 관심을 가진 호프만 교수는 미국의 PBS를 비롯하여 세계 여러 나라에서 방영된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화학의 세계”의 제작에도 참여했다."

역자

이덕환
서울대학교 화학과를 졸업했다. 이후 미국 코넬 대학교 화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프린스턴 대학교의 연구원을 거쳐, 현재 서강대학교 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명예교수이다. 비선형 분광학, 양자화학, 과학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했으며, 과학에 관한 많은 책을 번역해왔다. 2004년에 대한민국 과학문화상을, 2006년에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상을 수상한 바 있고, 과학기술훈장 웅비장(2008)을 수상했다. 글쓴이의 책들로는 『그림으로 보는 분자세계와 대칭성』(한국경제신문, 1996; 번역서),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까치, 1996; 번역서), 『확실성의 종말: 시간, 카오스 그리고 자연법칙』(사이언스북스, 1997; 번역서), 『셜록 홈스의 과학 미스테리』(까치, 1999; 번역서), 『녹색화학: 더 푸른 지구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한승, 2000; 번역서), 『먹거리의 역사』(까치, 2002; 번역서), 『산소』(자유아카데미, 2002; 번역서), 『볼츠만의 원자』(승산, 2003; 번역서), 『거의 모든 것의 역사』(까치, 2004; 번역서), 『새로운 우주』(까치, 2005; 번역서), 『아인슈타인: 삶과 우주』(까치, 2007; 번역서), 『물리학으로 보는 사회』(까치, 2008; 번역서), 『그림으로 보는 거의 모든 것의 역사』(까치, 2009; 번역서), 『춤추는 술고래의 수학 이야기』(까치, 2009; 번역서), 『거인들의 힘과 생각』(까치, 2010; 번역서), 『강아지도 배우는 물리학의 즐거움』(까치, 2011; 번역서), 『사이언스 토크토크』(프로네시스, 2012; e-book) 등이 있다.

출판사 리뷰

1996년 출간된 이래 늘 화학 분야의 베스트셀러 자리를 놓치지 않은 로얼드 호프만의 이 책은 화학이 무엇이고, 화학자가 어떤 마음으로 화학문제를 해결하는지를 다양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이번 개역판은 이전의 번역을 새롭게 가다듬고, 용어들을 정리한 것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화학은 실험실에서 화학물질들을 이용해서 이루어지는 우리의 일상과는 거리가 먼 분야일 것이다. 또한 화학물질에 대한 우리의 인식은 환경오염 등 부정적으로 흐르고 있다. 그러나 화학은 인류의 역사와 함께 발전해왔으며, 우리의 생명현상 자체도 화학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화학은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책에서 노벨상 수상자이자 “화학의 시인”인 로얼드 호프만 교수는 화학에 대한 일반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화학의 세계를 다양한 사례들을 통해서 쉽게 설명한다. 호프만 교수는 현대인이 자신의 삶을 제대로 이해하고, 민주시민으로서 사회여론의 결정에서 정당하게 참여하기 위해서는 화학을 필수적인 상식으로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화학의 핵심문제들과 분자의 합성, 메커니즘 등에 관해서 쉽고 흥미롭게 쓰인 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능동적으로 우리가 속한 세계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함께하면 좋은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