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
김종서, 배국원, 김성례, 이원규, 김재영, 윤원철
김종서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 교수
chongsuh@snu.ac.kr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졸업
마국 캘리포니아대(산타바바라) 종교학박사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 교수
한국정신문화연구원(2010년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교수
미국 하버드대학교 세계종교연구센터 객원학자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UC Berkeley) 객원학자
종교연구 편집위원장
한국 종교학회 회장
세계종교학회(LAHR) 학술위원
서양인의 한국 종교 연구(서울대출판문화원, 2010.09.05)
서양인의 한국 종교 연구(서울대출판문화원, 2007.10.20)
종교사회학(서울대출판문화원, )
한국인의 종교관(서울대출판문화원, 2004.07.30)
현대 신종교의 이해
과학과 종교
비교종교학(역서)
현대종교학담론(역서)
외 다수
배국원
연세대학교 철학과와 미국 남침례교신학교를 졸업했다. 하버드대학교 종교학과에서 종교철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Ph.D.)를 받았다. 사회복지법인 은강복지재단 이사장, 한국종교학회 이사, 문화신학회 이사, 아세아 침례교신학대학원 협의회(ABGTS) 상임이사, 한국침례신학대학 총장 등을 역임했다. 지은 책으로는 《현대종교철학의 프리즘》 《현대 종교철학의 이해》 《Homo Fidei》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신의 역사》 《현대 종교학 담론》 《가톨릭의 역사》 등이 있다.
김성례
서울대학교에서 의류학 학사학위와 인류학 석사학위를 마치고 미국으로 건너가 미주리 주에 있는 워싱턴 대학교에서 인류학 석사학위, 미시간 대학교에서 인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강원대학교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했고,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한국학연구소 포스트닥, 미국 하버드 대학교 하버드-옌칭연구소 방문교수, 국제 저명 학술지 Journal of Korean Religions(서강대 종교연구소 발행)의 창간 편집장을 역임했다. 현재 서강대학교 종교학과 교수이다.
종교인류학, 의례 연구, 한국 무교와 샤머니즘, 여성주의 구술사, 종교와 글로벌리제이션, 냉전과 기억정치가 주요 연구 분야이다.
주요 저서
<한국 종교문화 연구 100년>(공저), 청년사, 1999; <제주 4ㆍ3 연구>(공저), 역사비평사, 1999; <종교와 식민지 근대>(공저), 책과함께, 2013; <현대문화인류학>(공저), 형설, 2018.
주요 번역서
마샬 살린즈, <문화와 실용논리>, 나남, 1991; 줄리아 크레인, <문화인류학 현지조사 방법>(공역), 일조각, 1996; 피어스 비텝스키, <샤먼>(공역), 창해, 2005; 로렐 켄달, <무당, 여성, 신령들>(공역), 일조각, 2016.
주요 논문
"Chronicle of Violence, Ritual of Mourning: Cheju Shamanism in Korea"(1989); "Lamentations of the Dead: The Historical Imagery of Violence on Cheju Island, South Korea"(1989); "Shamanic Epics and Narrative Construction of Identity on Cheju Island"(2004); "The Work of Memory: Ritual Laments of the Dead and Korea's Cheju Massacre," A Companion to the Anthropology of Religion(2013).
이원규
감리교신학대학 졸업
미국 에모리대학 대학원 종교사회학 석사(1978), 박사(1981)
감리교신학대학 교수(1981~2013)
한국인문사회과학회 회장, 한국종교사회학회 회장 역임
저서
《종교의 세속화: 사회학적 관점》(1987)
《종교사회학: 이론과 실제》(1991)
《한국교회의 사회학적 이해》(1992)
《한국교회의 현실과 전망》(1994)
《한국교회 무엇이 문제인가?》(1998)
《한국교회 어디로 가고 있나?》(2000)
《한국 사회문제와 교회공동체》(2002)
《기독교의 위기와 희망: 종교사회학적 관점》(2003)
《인간과 종교》(2006)
《힘내라, 한국교회》(2009)
《한국교회의 위기와 희망》(2010)
《머리의 종교에서 가슴의 종교로》(2012)
《한국교회의 사회학》(2018)
《한국교회와 사회》(편저, 1989)
《현대 한국종교변동 연구》(공저, 1993)
《한국사회발전과 기독교의 역할》(공저, 2000)
역서
E. Brunner,《신학입문》(1972)
T. Luckmann,《보이지 않는 종교》(1982)
G. Baum,《종교와 소외》(1983)
R. Robertson,《종교의 사회학적 이해》(1984)
E. Brewer and M. Jackson,《웨슬리와 변형운동》(1988)
D. Miller,《왜 그들의 교회는 성장하는가?》(2008)
D. Bass,《교회의 종말》(2017)W. Capps,《현대 종교학 담론》(공역, 1999)D. Martin,《현대 세속화 이론》(공역, 2008)
김재영
캐나다 오타와 대학교 인문대학 종교학과에서 카를 구스타프 융과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의 인간이해에 대한 비교연구로 박사학위(1992)를 받았다. 강남대학교 신학대학 종교철학과 교수를 역임한 이후 2003년부터 지금까지 서강대학교 국제인문학부 종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 종교학회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국제 종교학 학술지인 Religion과 영국 종교교육학 학술지인 British Journal of Religious Education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논문으로는 「‘심리적’ 종교심리학의 회심이론」, 「신종교인식과 정신건강담론」, “William James and Bernard Lonergan on Religious Conversion”, “Carl Gustav Jung and Granville Stanley Hall on Religious Experience” 등이 있고, 저서로는 『종교심리학의 이해: 죽음인식의 논의를 중심으로』(2017), Religious Education in Asia: Spiritual Diversity in Globalized Times(공저, Routledge, 2020)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인간 본성의 연구』(2000), 『죽음의 부정: 프로이트의 인간 이해를 넘어서』(2008) 등이 있다.
윤원철
서울대학교 종교학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미국 롱아일랜드에 있는 스토니브룩 뉴욕 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석사과정에서 한국의 민간신앙, 박사과정에서 불교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현재는 서울대학교 종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지은책으로 <불교사상의 이해> <똑똑똑 불교를 두드려보자> <종교와 과학>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현대의 종교 변용> <깨침과 깨달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