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의 장원제
프랑스와 영국의 장원제에 대한 비교사적 고찰
책 소개
번역자 자신이 서양중세사를 강의할 때마다 절실히 느끼는 것이지만, 장원제는 중세사의 중요하고도 기본적인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해서 우리말로 참고할 수 있는 단행본 서적이 우리 사회에는 전혀 없는 실정이다. 이런 안타까운 상황에서 우선 장원제에 관한 훌륭한 외국서적을 우리말로 번역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라고 아니할 수 없을 것이다. 더욱이 대학생들에 대한 강의용으로 쓰여진 이 책의 번역은 우리나라 대학사회의 이런 요구에 아주 적합한 것이라고 하겠다. 그러나 이 책은 비록 원래 강의원고로 쓰여진 것이기는 하지만, 서양 봉건사회에 정통한 마르크 블로크가 프랑스와 영국의 농촌사회 구조가 기본적으로 다르게 된 원인을 장원제의 역사를 통해서 논리적으로 설명하려는 차원에서 쓰여진 것이기 때문에 수준 높은 학술서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책은 서양의 장원제나 마르크 블로크의 역사학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연구자들에게도 매우 유익한 책이다.
차례
옮긴이의 머리말 5
서론
현대 프랑스 농촌과 영국 농촌의 대조적의 모습 21
프랑스의 장원과 영국의 장원 28
연구방법 34
제1부 초기의 고전장원제 : 카롤링 왕조 시대의 프랑스 장원과 노르만 왕조 시대의 영국 장원
제1장 카롤링 왕조 시대의 고전장원 39
1. 사료 39
2. 영주직영지 43
3. 농민보유지 59
4. 신분 68
제2장 11세기 영국의 장원 77
1. 영국 농촌사의 기본적 특성 77
2. <둠즈데이 북>과 “장원”이라는 말 90
3. 신분 98
4. 장원제의 강제적 시행 105
제2부 11-13세기의 장원제 : 장원농민의 법적 신분과 장원 경제구조의 변동
제1장 법률의 변천과 장원농민의 신분 변동 --- 프랑스를 중심으로 109
1. 9-12세기 프랑스의 법률 변천 110
2. 장원농민의 신분 변동과 농노신분의 형성 114
제2장 재판권과 장원농민 125
1. 프랑스의 재판권 변화 추이와 장원농민 127
2. 영국의 재판권 변화 추이와 장원농민 136
제3장 장원 경제구조의 변동 141
1. 부역과 공납의 변화 142
2. 영주직영지의 축소 147
제3부 14세기 이후 경제상황의 변화와 장원제의 귀결
제1장 중세 말과 근대 초의 경제상황의 변화 장원제 157
1. 14-15세기의 위기와 장원조직 157
2. 화폐가치의 변동과 영주의 소작료 수입 163
3. 가격혁명과 영주의 소작료 수입 172
제2장 영국 장원제의 귀결 176
1. 영주직영지의 상당한 잔존 176
2. 농민적 토지소유의 쇠퇴 187
3. 정치적, 사회적 세력관계의 변화 191
4. 인클로저와 장원제의 해체 194
인클로저: 총론 / 인클로저의 역사와 장원제 / 인클로저의 결과와 장원제
5. 종합적 결론: 장원제가 영국의 역사에 미친 영향 218
제3장 프랑스 장원제의 귀결 220
1. 영주계급의 변화 221
2. 영주계급과 농민계급에 대한 군주정의 태도 223
3. “영주적 반동” 226
색인 235
저자
마르크 블로크Marc Bloch
"1886년 프랑스 리옹에서 태어났다.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서 역사학과 지리학을 공부했으며, 독일의 라이프치히 대학교와 베를린 대학교에 유학했다. 소르본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의 중세사 담당 교수로 재직했다. 그곳에서 뤼시앵 페브르를 만나 20세기를 대표하는 역사 잡지 「아날Annales」을 창간했다. 이로써 프랑스 아날 학파를 결성하여 현대 역사학을 근본적으로 새롭게 했다.
한편 실천적 역사가였던 그는 제1차 세계대전에 이어 제2차 세계대전에 자원입대하여 참전했으며, 독일의 프랑스 점령 아래에서는 레지스탕스 운동에 투신했다. 1944년 나치 친위대에게 체포되어 58세의 나이로 처형되었다.
『기적을 행하는 왕Les rois thaumaturges』, 『프랑스 농촌사의 기본 성격Les caractères originaux de l’histoire rurale française』, 『봉건사회La Société féodale』, 『역사를 위한 변명Apologie pour l’histoire : ou métier d’historien』등을 저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