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바로가기 하단메뉴바로가기

영화의 역사

영화의 역사

책 소개

이 책 「영화의 역사:이론과 실제(Film History:Theory and Practice)」는 제목만 보면 영화사를 연구하려는 전문가들을 위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 책을 따라가다보면, 영화사 책을 포함한 일반적인 영화 책을 읽는 방법으로부터 시작해서 그동안 이루어진 영화사와 영화 연구 전반에 대한 비판과 대안을 매우 적나라하면서도 생생하게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실제로 이 책은 여러 나라에 소개되어, 본격적인 학문으로서의 영화사와 영화 연구를 재공식화할 필요성을 입증한 영화사 분야의 전설적인 책이다. 이 책은 미국 영화사와 영화 연구를 토대로 한 것이지만, 읽다보면 때로는 한국 영화사와 영화 연구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깨닫게 된다. 최근 한국의 영화 연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작가주의와 걸작 위주의 영화사 정리나 영화 연구도 여지없이 비판적으로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차례

[영화사 읽기와 조사 작업 그리고 쓰기] 역사로서의 영화사 영화사 조사 작업 영화사 읽기 [영화사의 전통적인 접근 방식들] 미학적인 영화사 기술적인 영화사 경제적인 영화사 사회적인 영화사 [영화사 연구의 실제] 영화사 쓰기 통합적인 관점에서 본 영화사 선별한 참고 문헌 안내

저자

로버트 C. 앨런Robert C. Allen

역자

유지나, 김혜련
유지나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7대학 기호학과 대학원(영상기호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동국대학교 영화영상학과 교수·영화평론가로 활동하고 있다. 세계문화다양성 증진에 기여한 공로로 프랑스 정부로부터 학술훈장을 받았고, 2005 동국대 명강의상을 받았다. 2008년부터 ‘유지나의 씨네 콘서트’, ‘유지나의 씨네 토크’를 영화, 음악, 시가 어우러진 퓨전 콘서트 형태로 창작하여 다양한 무대에서 펼쳐 보이고 있다. 지은 책으로 『페미니즘 영화 여성(공저)』, 『여성 영화 산책』, 『영화, 나를 찾아가는 여정(공저)』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는 『시나리오란 무엇인가』, 『시나리오 작가를 위한 심리학』, 『영화의 역사: 이론과 실제』, 『영상 기호학』, 그리고 마르그리트 뒤라스의 『말의 색채』 등이 있다. 김혜련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와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를, 파리 제4대학 프랑스 언어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기호학연구소 상임연구원으로 있다. 옮긴 책으로로 <영상 기호학>(공역), <영화의 역사 : 이론과 실제>(공역), <모드의 체계>(공역), <현대사회와 기호> <자동차광고의 기호학적 분석> <꿈의 공장> <프랑스 영화 이야기>(공역) 등이 있다.

함께하면 좋은 책